천연항생제는 내성과 부작용 문제가 덜할까?
천연항생제가 내성균이 덜 생기고 부작용이 덜한 것이 맞는지 한 학생에게 문의 메일을 받았다. 내가 아는 분야는 아니지만, 해당 문제를 충분히 고민한 흔적이 느껴지고 내용도 공손해서 뭐라도 답해주고 싶어서 아래와 같이 … Continue Reading →
Pharmacology, IT
Science related posts, not otherwise specified.
천연항생제가 내성균이 덜 생기고 부작용이 덜한 것이 맞는지 한 학생에게 문의 메일을 받았다. 내가 아는 분야는 아니지만, 해당 문제를 충분히 고민한 흔적이 느껴지고 내용도 공손해서 뭐라도 답해주고 싶어서 아래와 같이 … Continue Reading →
Pooled prevalence meta-analysis with R 이미 Systematic review 방식으로 논문을 모아놓은 것을 가정하고. 다음과 같이 csv 파일로 데이터를 정리한다. (data extraction) RStudio에서 우선 meta 패키지를 로딩하고 library(meta) Session –> Set … Continue Reading →
어릴때 닌텐도 게임보이 에뮬레이터로 Pokemon Blue를 너무나 즐겁게 플레이한 추억이 있어 Pokemon GO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고, 악세사리인 Pokemon GO Plus도 구매하게 되었다. (직장인이 되어 돈을 버니까 부모님 눈치를 안 보고 … Continue Reading →
의대생 사이트에 “2005년판 중고 해부학책으로 공부해도 될까요?”라고 질문이 올라왔고, 그에 대한 대답으로 “곤란한데요.. 10년간 인류가 해부학적 진화를 거쳤을겁니다..”라는 재치있는 댓글이 달렸다. 재미있는 것은 진짜로 최근들어서도 조금씩 해부학적 구조물이 추가되고 있다는 … Continue Reading →
고등학교 생물 시간 또는 대학교 생화학 시간에 해당작용 또는 TCA cycle 등등을 배웠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 암에서 산소가 충분함에도 anaerobic glycolysis가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Warburg effect라고 부른다. 얼핏 … Continue Reading →
일주일 전에 비행기를 타고 미국에 날아든 MERS 케이스가 있었는데, 미국의 두 번째 케이스가 CDC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번에도 역시나 비행기를 타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날아든 케이스이다. 두 사람 모두 의료에 종사하는 사람이라고. (healthcare … Continue Reading →
누가 보면 무슨 락 밴드가 빌보드 차트에 올랐나 싶은 제목이지만, 그것보다 좀 더 걱정되는 내용이다. 얼마 전에 사우디에서 걱정하고 있는 바이러스가 있다는 내용을 포스팅 했는데, 미국에서 첫 케이스가 발견되었다. (관련 … Continue Reading →
어제 Nature Medicine에 올라온 따끈따끈한 논문 Parabiosis라는 두 마리의 쥐 좌우 몸을 연결시키는 약간은 엽기적인 동물모델을 통해 늙은 쥐와 젊은 지를 연결시키면 dendritic spine이 증가하고 synaptic plasticity 관련 gene profile … Continue Reading →
해조류에 압력과 열을 가해 1시간 안에 석유로 만드는 기술. 앞으로 잘 다듬어져서 상용화되면 좋겠다! +_+ New process converts algae to crude oil in less than an hour
miRNA가 mRNA의 3′ UTR에 결합함으로써 발현을 저해하는 것이 기본적인 개념인데, 그와 반대로 mRNA의 3′ UTR가 일종의 sponge 역할을 함으로써 miRNA를 소모해버리고, 그 miRNA들이 작용할 수 있는 다른 mRNA에 작용하지 못하게 …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