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언어모델(LLM) 시대의 의학 교육
바야흐로 Large language model(LLM)의 시대이다. 2022년 11월 30일에 공개된 ChatGPT는 다양한 가능성을 체감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질문에 대해 답을 하는 것은 물론, 특정 주제에 대해 에세이를 쓰거나, 동화를 지어내거나, … Continue Reading →
Pharmacology, IT
바야흐로 Large language model(LLM)의 시대이다. 2022년 11월 30일에 공개된 ChatGPT는 다양한 가능성을 체감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질문에 대해 답을 하는 것은 물론, 특정 주제에 대해 에세이를 쓰거나, 동화를 지어내거나, … Continue Reading →
“앞으로 어떤 자질이 의대생에게 가장 중요할까요?”라는 질문을 학생에게 받았다. A교수(의학교육에 관심)와 B교수(AI에 관심)의 답변. 1. 넓은 영역에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 [A교수] – 앞으로 의대는 평가방식이 절대평가로 바뀔거고, 의사가 … Continue Reading →
Academic PhrasebankUniversity of Manchester에서 논문 쓸 때 많이 사용하는 영어 표현 예제들을 모아놓은 사이트. 예를 들어 “표/그림를 살펴보면 ~~한 것을 볼 수 있다”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수록되어있다. What … Continue Reading →
대학원 수업중에 질문 들어온 내용이 있어서 설명용으로 정리. Amount in body = Amount in plasma + Amount outside plasma V * C = Vp * C + Vt … Continue Reading →
신장요로계 과정의 이뇨제 강의를 맡아 1시간짜리 수업을 했다. 자체 피드백 지루하다. 내가 생각해도 너무 지루한 수업이다. 여기선 이 transporter를 억제해서 이렇게 되고, 저기선 이 호르몬을 길항해서 이렇게 되고 주절주절… 그런데 … Continue Reading →
오늘 약동학을 주제로 3시간짜리 강의를 했다. 발령후 첫 의대 학부 수업이라 걱정도 많이 하고 슬라이드 준비에 고생을 좀 했다. 감기 때문에 어제부터 약을 꼬박꼬박 q6h로 먹어주고 아침에도 수업 직전에 먹어서 … Continue Reading →
일단 원문 링크는 여기: http://care.diabetesjournals.org/content/38/Supplement_1/S4.full 그냥 눈에 들어오는 것들만 대강 정리 1. 당뇨 스크리닝 대상의 BMI 기준이 아시아인에서 기존의 25kg/m^2이 23kg/m^2로 더 엄격해졌다. 23 이상에서도 당뇨병 발병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연구 … Continue Reading →
올해도 약리학 실습을 위해 어김 없이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 나오는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4년 버전에서 바뀐 내용을 확인하게 되었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임신성 당뇨 (GDM)에 대한 내용인 … Continue Reading →
의사 실기시험 합격률은 96.0%로 3304명의 응시자 중 3171명이 합격했으며, 필기시험의 경우 3246명의 응시자 가운데 3056명이 합격해 94.4%의 합격률을 보였다. 출처 : http://dailymedi.com/news/opdb/index.php?cmd=view&dbt=article&code=126285&cate=class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