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항생제는 내성과 부작용 문제가 덜할까? mahler83, 2021-07-192021-07-19 천연항생제가 내성균이 덜 생기고 부작용이 덜한 것이 맞는지 한 학생에게 문의 메일을 받았다. 내가 아는 분야는 아니지만, 해당 문제를 충분히 고민한 흔적이 느껴지고 내용도 공손해서 뭐라도 답해주고 싶어서 아래와 같이 답을 보냈다. OOO 학생에게,안녕하세요? OOO입니다.항생제는 제가 연구하는 분야가 아니어서 틀릴수도 있지만,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답변드립니다. 1. 천연항생제라는 것이 이미 자연에 존재하는 혼합물이라고 정의한다면, 일상생활에서의 가벼운 감염에서 효과 있다고 알려진 식품을 먹는다거나 식물을 바른다거나 하는 식으로 활용되는 물질일 것입니다.천연항생제는 대체로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목숨을 위협하는 심각한 감염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인공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부작용과 내성균은 심각한 감염에서 문제가 되는 것들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심각한 감염에서 사용하는 인공항생제들에서 부작용과 내성균 문제가 발생하고, 천연항생제에서는 그것이 문제되지 않을 것입니다.예를 들어 심각한 환자를 보는 A 병원 환자의 사망률은 10%이고, 가벼운 환자를 보는 B병원 환자의 사망률은 0.1%일 때, A병원의 치료 성적이 더 나쁘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2. 약물의 개발 과정을 생각해본다면 인공항생제가 천연항생제에 비해 효과가 좋은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약 어떤 천연항생제가 어떤 균에 대해 효과가 좋다는 것이 알려지면, 약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그 천연항생제를 연구해서 그 혼합물 안의 어떤 유효성분이 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혀내게 될 겁니다.그리고 일관되게 강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유효성분의 비율을 조정한다거나, 화학적으로 조금 변형시켜서 원래 자연에 있는 물질보다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흡수가 잘 되거나, 부작용이 덜한 물질을 개발하게 됩니다.그 이후에는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정확한 화학적 조성을 알고 있는 물질로 예상 가능한 효과와 부작용을 가진 약물을 생산하게 됩니다.여기서 예상 가능한 “효과와 부작용”이라고 말한 것은, 모든 약물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과학적 실험을 통해 예상되는 부작용보다 예상되는 효과가 큰 경우에만 약물 허가가 나고, 의사들도 그 근거를 바탕으로 약물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반면 천연 항생제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집 뒷마당 마늘은 효과가 아주 좋은데 옆동네 텃밭의 마늘은 효과가 더 약한 식으로, 품질관리가 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과학적인 실험을 하기도 어렵죠. 3. 천연항생제의 장점천연항생제는 다양한 물질이 섞인 혼합물이라는 점이 품질관리를 어렵게 하지만, 거꾸로 장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섞여있는 여러 물질들의 조합이 한두개의 유효성분에 비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이런 것은 엄정한 과학적 실험이 어렵기 때문에 밝혀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는 천연항생제가 장점을 가질 수 있겠죠. 하지만 그 효과가 매우 크다면 과학적 실험을 통해 그 원리를 밝혀내고 인공항생제의 형태로 개발될 것입니다.가격도 장점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구 및 품질관리에 들어가는 비용 때문에 인공항생제는 아무래도 가격이 비쌉니다. 개인적인 생각을 한 번 적어봤습니다. 항생제를 연구하는 “미생물학”이나 “감염내과학” 분야에 계신 분에게 문의를 해보면 좀 더 좋은 답변을 들으실 수 있을 것 같네요.그리고 처음 연락을 드리는 분에게는 어떤 경로로 연락처를 알고 연락을 드리게 되었는지, 나는 누구이고 왜 연락을 드리는건지 메일 처음 부분에 상세하게 적는 것이 좋습니다.피싱이나 스팸으로 의심되면 메일 내용을 읽지도 않고 지워버릴테니까요. 궁금한 점을 여러 경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중이죠?“천연항생제”라는 키워드 자체가 돈벌이 수단이 되기 쉬운 영역이라 가짜 정보도 많고 알맹이가 없는 정보도 많을 것 같네요.이런 상황에서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공통이 되는 내용을 믿고, 상충되는 내용이 있다면 왜 그걸 다르게 설명하는지 분석해보고 어느 쪽을 믿을지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riss.kr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좀 더 전문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저의 답변도 정답으로 생각하지 말고, 지금까지 수집한 내용들과 비교분석해서 어떤 내용이 믿을만한 건지 스스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Share this:TwitterFacebook Pharmacology Science
Gaming 포켓몬고 플러스 리뷰 2017-03-09 어릴때 닌텐도 게임보이 에뮬레이터로 Pokemon Blue를 너무나 즐겁게 플레이한 추억이 있어 Pokemon GO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고, 악세사리인 Pokemon GO Plus도 구매하게 되었다. (직장인이 되어 돈을 버니까 부모님 눈치를 안 보고 돈을 쓸 수 있으니까 좋네요) 10일 정도 사용해보면서 느낀 점들을 정리해본다. 조작법 1. 설정하기 설정에 들어가 Pokemon GO Plus를 누르면… Share this:TwitterFacebook Read More
젊은 혈액이 노화로 인한 뇌의 변화를 되돌릴 수 있다 2014-05-052014-05-05 어제 Nature Medicine에 올라온 따끈따끈한 논문 Parabiosis라는 두 마리의 쥐 좌우 몸을 연결시키는 약간은 엽기적인 동물모델을 통해 늙은 쥐와 젊은 지를 연결시키면 dendritic spine이 증가하고 synaptic plasticity 관련 gene profile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였다. 또한 젊은 쥐의 plasma를 늙은 쥐에 주입하면 기억력 관련 행동실험 (Contextual fear conditioning, Radial arm water… Share this:TwitterFacebook Read More
약리학 대학원수업 – 약물대사 2013-03-262013-11-07 수업메모 약물대사: Phase 1, 2로 나눌 수 있다. Phase 1은 oxidase, dehydrogenase 종류들 Phase 2는 transferase 종류들 CYP는 Hepatocyte, Intestinal epithelial cell에 주로 위치 – ER outer membrane에 위치 CYP3A의 activity는 unimodal distribution을 가진다. ← 생존에 필수적이기 때문 다른 CYP들은 polymorphic distribution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Poor metabolizer, Intermediate (hetero),… Share this:TwitterFacebook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