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 논문 읽고 리포트를 쓰게 할 때 다음 질문에 답하는 형태로 내도록 하고 있다.
1. 이 논문이 나오게 된 역사적인 이유는? 즉, 이 분야에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어왔고 어떤 맥락에서 이번 연구가 시작된 것인가?
논문 주제를 잡는 방법을 배우고 introduction에 들어갈 중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질문.
2. 이 논문은 어떤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인가? 한 문장으로 적으시오.
중심 가설을 찾아내서 정확한 용어로 기술하는 훈련.
3.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저자들은 어떻게 연구를 진행했는가? 한 그림(figure) 또는 결과 부분(result)의 한두 문단을 각각 한 문장으로 요약해서 논리적 흐름을 적으시오.
논문을 읽을 때 저자들이 밑바탕으로 깔고 있는 논리적 흐름을 잡아내는 훈련. 마찬가지로 논문을 적을 때 이런 식으로 몇 문장을 적어놓고 시작해야 흐름이 어색하지 않다.
4. 이 논문이 출판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부분, 또는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새로운 점(novelty)를 지적하시오.
출판될만한 가치가 있는 포인트를 잡아내는 훈련. 논문을 적을 때도 이런 포인트를 하나 확실하게 가지고 있고 리뷰어들에게 부각시켜야 통과될 확률이 높아진다.
5. 이 논문의 결론(conclusion) 또는 부족한 점(limitation)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어떤 내용이 될 지 상상해 적으시오.
이 연구가 출발한 맥락과 결론에서 제시하는 방향성을 파악해야 답할 수 있는 질문이다. 마찬가지로 논문을 적을 때 이런 방향성을 고찰(discussion) 부분에 적어주는 것이 좋다.
More from my site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큰 도움 받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상냥한 댓글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