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고에서 포획 확률을 높이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있습니다.
1. 볼 종류 (하이퍼볼 > 수퍼볼 > 몬스터볼)
2. 라즈베리 사용
3. 던지기 보너스 (Excellent > Great > Nice)
4. 커브볼
5. 메달
6. 포켓몬의 종류와 레벨
참고로 이 내용은 다음 페이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든 자료입니다.
https://pokemongo.gamepress.gg/catch-mechanics
개인적으로 매우 신뢰할만한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포획 확률을 설명하기 위해 ‘볼효율’라는 개념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하이퍼볼의 볼효율은 2, 수퍼볼의 볼효율 1.5, 몬스터볼의 볼효율은 1인데, 이는 “하이퍼볼은 몬스터볼 2개를 던진 만큼, 수퍼볼은 몬스터볼 1.5개를 던진 만큼의 확률로 포획한다”라는 의미를 담습니다.
수식으로 풀어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종포획률 = 1 – (1 – 기본포획률)볼효율
예를 들어, 기본포획률이 40%인 상황에서 하이퍼볼을 사용하면 2배인 80%가 되는 것이 아니라, 몬스터볼 2개를 던진 것과 확률이 같습니다. 이는 100%에서 2회 연속으로 몬스터볼을 던져서 실패할 확률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즉, 1 – (1 – 0.4)2 = 0.64 가 됩니다. 수식이 골치아프면 간단하게 하이퍼볼 1개를 던지면 몬스터볼 2개를 던진 효율을 낸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최종 볼효율은 여러가지 요소들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라즈베리를 사용하고(1.5) 수퍼볼을 던지면(1.5) 최종 볼효율은 2.25가 됩니다.
그럼 위에서 말한 6가지 요소들의 볼효율을 알아봅시다.
1. 볼 종류
몬스터볼 = 1, 수퍼볼 = 1.5, 하이퍼볼 = 2
하이퍼볼을 2개 던지면 몬스터볼 4개를, 수퍼볼 2개를 던지면 몬스터볼 3개를 던진 것과 같은 효율을 낸다고 보면 됩니다.
2. 라즈베리 사용
라즈베리 = 1.5
라즈베리를 먹이면 몬스터볼이 수퍼볼만큼의 효율을 내는 셈이 됩니다. 라즈베리를 먹이고 수퍼볼을 사용하면 1.5 * 1.5 = 2.25가 되어서 하이퍼볼보다 더 강력해집니다.
(2017년 7월 추가)
골든라즈베리 = 2.5
레이드 드랍 아이템인 골든라즈베리(황라)는 일반 라즈베리보다 훨씬 강력합니다. 참고로 체육관에서 하트를 만땅으로 채워주는 효과도 있습니다만, 전설의 포켓몬 잡는데 써야 하니까 아껴두시길 추천합니다.
(2018년 9월 추가)
실버파인베리 = 1.8
필드리서치나 스페셜리서치에서 나오는 실버 파인 열매는 사탕을 2배 주면서 동시에 볼효율을 1.8배 올려줍니다. 볼효율만 따지면 라즈베리보다 약간 강한 정도입니다.
(참고로 체육관에서 먹이면 motivation이 나납베리의 2배 올라갑니다. 절대 쓰지 말고 차라리 남아도는 황라 쓰세요)
3. 던지기 보너스
Nice = 1-1.3, Great = 1.3-1.7, Excellent = 1.7-2
던지기 보너스는 원의 크기가 작아질 때 명중시키면 포획할 확률을 올립니다. 같은 Great이라도 Nice에서 Great으로 바뀐 순간에 맞추면 1.3 볼효율을 얻고, Excellent로 바뀌기 직전에 맞추면 1.7 볼효율을 얻습니다.
평균내서 다음과 같이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Nice = 1.15, Great = 1.5, Excellent = 1.85
4. 커브볼
커브볼 = 1.7
개인적으로 무조건 커브볼을 던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볼효율 1.7이면 Great 던지기 보너스나 수퍼볼보다도 높습니다. 즉, 직구로 던지고 Great판정을 받는 것보다 커브볼로 던지기 보너스를 못 받는 것이 포획률 면에서는 유리합니다.
(하지만 코앞의 구구는 커브볼 던지는 것 자체가 어려워서 직구로 Great보너스를 받는 쪽을 노리긴 합니다.)

커브볼 궤적
5. 메달
노메달 = 1, 동메달 = 1.1, 은메달 = 1.2, 금메달 = 1.3
메달은 캐릭터랑 버디 화면 아래 내려보면 뜨는 메달을 말합니다. 참고로 같은 속성의 포켓몬을 200마리 잡아야 금메달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물+비행 속성의 포켓몬을 잡을 때 물 = 금메달, 비행 = 동메달이면 평균값인 1.2 볼효율을 얻게 됩니다.
메달에 의한 볼효율은 수치도 낮고, 잡는 순간에는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크게 고려할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6. 포켓몬 종류와 레벨
이것도 잡는 순간에는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서 패스…
궁금한 사람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https://pokemongo.gamepress.gg/base-capture-rate
https://pokemongo.gamepress.gg/cp-multiplier
몇가지 상황의 볼효율 비교
1. 라즈베리를 먹이고, 하이퍼볼을, 커브볼로 던져, Great를 맞춘 경우
라즈베리(1.5) x 하이퍼볼(2) x 커브볼(1.7) x Great(1.5) = 7.65
망나뇽 같은 녀석이 나왔을 때 이렇게 노력해서 잡을텐데요, 이런 경우 몬스터볼을 직구로 던져 빗맞춘 것을 7.65회 반복한 볼효율을 냅니다.
2. 커브볼 빗맞춤 vs 직구 Great
커브볼(1.7) x 빗맞춤(1) = 1.7 vs 직구(1) x Great(1.5) = 1.5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브볼로 빗맞춘 것이 볼효율이 더 좋습니다. 커브볼을 연습해야 하는 이유라고 봅니다.
3. 몬스터볼 커브볼 Great vs 하이퍼볼 직구 Nice
커브볼(1.7) x Great(1.5) = 2.55 vs 하이퍼볼(2) x Nice(1.15) = 2.3
커브볼로 Great를 노리는 연습이 중요한 이유를 강조하기 위해 비교해봤습니다.
4. 라즈베리 하이퍼볼 커브볼 Excellent
라즈베리(1.5) x 하이퍼볼(2) x 커브볼(1.7) x Excellent(1.85) = 9.435
최고의 시나리오죠?
위와 같이 볼효율을 몇가지 계산해보시고, 어떻게 던지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한지 가늠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족1. 볼효율이 계수가 아닌 승수로 계산되므로 본인 가진 볼이 몇개인지 환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몬스터볼 100개를 모두 커브볼로 던진다면, 같은 정확도를 가진다는 가정 하에 직구로 170개를 던져서 잡을 수 있는 수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하이퍼볼 100개, 수퍼볼 100개, 몬스터볼 100개를 던진다면, 2 x 100 + 1.5 x 100 + 1 x 100 = 450개의 몬스터볼을 던져서 잡을 수 있는 수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습니다.
또또 다른 예로 몬스터볼 100개와 라즈베리 100개가 있다면 수퍼볼 100개와 동급이라고 환산할 수 있습니다.
사족2. 오늘 아침에 집 근처에 포케스탑이 추가되어서 게임을 접지 않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글을 적을 수 있었다. 세븐일레븐 감사합니다.
More from my site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