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 선택 도우미 시스템

재미로 쓰는 프로젝트 기획서 ㅋㅋ

Purpose of project

밥을 시키는 건 언제나 고민인다. 여러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메뉴를 골라야 하는데, 직관적으로 메뉴를 고르기에는 옵션들이 머릿속에 항상 들어있는 게 아니고, 장소마다 배달 가능여부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최후의 보루인 맥도날드 배달이 안 되는 곳도 있다..ㅜㅜ)

fig1

Figure 1. 밥을 시키는 사람들은 고민이 많다.

General concept of how the system works

각 메뉴별로 속성을 부여하고, 여러가시 속성을 기반으로 sorting을 거쳐 조건에 부합하는 메뉴를 결정해준다. 일반적인 메뉴의 나열만으로는 decision making에 도움이 크게 안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뉴 선택은 ‘먹고 싶은 것’보다는 ‘먹기 싫은 것을 제외한 무언가’로 결정된다. Negative selection방식이랄까… 이 행동양상에 맞춰 시스템을 구상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Figure 2. 말은 쉽지...

Figure 2. 말은 쉽지…

Properties of each menu

일단 메뉴 자체의 속성은 개인이 지정할 수도 있지만, 이용자들이 rating system을 이용해 점수를 매기면 평균점수를 보여주는 방식이 좋을 듯 하다. Scaling이 가능한 속성으로는 다음이 우선 떠오른다.

  • 느끼/깔끔
  • 매움/순함
  • 따뜻해요/차요
  • 불어요/잘버텨요 (이건 서저리과-oriented랄까..)
  • Dry/wet
  • 종합평점

들어가는 고기의 종류도 중요할 것 같다.

  • 돼지/소/생선/닭/veggie

배달 가능한지는 지역(기관)마다 다를 것 같다.

  • 특정 지역/기관에 배달 가능한지 여부 → 본인의 위치 지정시 이용 가능.
  • 가게이름, 전화번호, 메뉴판

Search screen

느끼, 매움, 따뜻 등의 속성별로 스케일을 지정 → 느끼지수 2.5 이하, 매움지수 3.5 이하, 따뜻지수 상관없음 등

고기종류 옵션 → 치킨은 3일 연속 먹었으니 닭 들어가는 메뉴는 제외

Data collection

General data

  • 신규 메뉴 입력
  • 메뉴별 속성 평가, 통계
  • 최근 인기 메뉴 (계절을 탈 듯?)

지역별 data

  • 가게이름, 전화번호, 메뉴판
  • 가게별 평가

개인별 data

  • 최근 주문 내역

Personal comments

이러다 진짜 만드는거 아냐…..

CC BY-NC-SA 4.0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Leave a Comment

Time limit is exhausted. Please reload CAPTCHA.